![]() Music: 바람의 소원 "싸가지가 없다"라는 말의 유래 "싸가지가 없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 "싸가지, 가 무엇일까요? 읽어 보시고 "싸가지, 가 있도록 노력하십시다. ![]() 한양도성을 건립할 때 人間이 갖춰야 할 德目에 따라, 동대문은 '인 (仁)' 을 일으키는 문이라 해서 흥인지문(興仁之門) 서대문은 '의 (義)' 를 두텁게 갈고닦는 문이라 해서 돈의문(敦義門) 남대문은 '예 (禮)' 를 숭상하는 문이라 해서 숭례문(崇禮門) 북문은 '지 (智)' 를 넓히는 문이라 해서 홍지문(弘智門)이라 했습니다. 그리고 그 중심에 가운데를 뜻하는 '신'을 넣어 보신각(普信閣)을 건립했습니다. 이는 한양도성을 오상(五常)에 기초하여 건립한 것입니다. 오상이란 인 (仁) 의 (義) 예(禮) 지 (智) 신 (信) 으로 인간이 갖추고 있는 다섯 가지 기본 덕목입니다. 인 (仁) 은 측은지심(惻隱之心)으로 불쌍한 것을 보면 가엾게 여겨 정을 나누고자 하는 마음. 의 (義) 는 수오지심(羞惡之心)으로 불의를 부끄러워하고 악한 것은 미워하는 마음. 예 (禮) 는 사양지심(辭讓之心)으로 자신을 낮추고 겸손해하며 남을 위해 사양하고 배려할 줄 아는 마음. 지 (智) 는 시비지심(是非之心)으로 옳고 그름을 가릴 줄 아는 마음입니다. 신 (信) 은 광명 지심(光名之心)으로 중심을 잡고 항상 가운데에 바르게 위치해 밝은 빛을 냄으로써 믿음을 주는 마음입니다. 도성을 짓는 데도 사람의 도리를 중시하는 조상의 넓고 깊은 마음에 고개를 숙입니다. 보신각이 4대 문 중심에서 종을 울리는 것은 仁, 義, 禮, 智 를 갖추어야 인간은 신뢰할 수 있다는 유교적인 철학입니다. 그리고 仁, 義, 禮, 智 4 가지가 없는 사람은 "사가지" 없는 놈, 즉, "싸가지" 없는 놈이 됩니다. "싸가지" 없다는 말은 은연중에 많이 사용했는데 이런 뜻이 있는 줄 몰랐습니다. 지금부터라도 인의예지신 (仁, 義, 禮, 智, 信) 을 나 자신부터 지켜서 "싸가지" 없다는 말을 듣지는 말아야겠습니다. ![]() 우리 벗님들~! 健康조심하시고 親舊들 만나 茶 한잔 (소주 한잔) 나누시는 餘裕롭고 幸福한 나날 되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