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人生不滿百.常懷千歲憂
(인생 불만 백. 상회 천세 우)
사람이 百年을 채워
살지도 못하면서,
늘 千年 어치의 걱정을 하고
산답니다.
中國 한나라 때
악부인 서문행에 나오는
말입니다.
人間(인간)은
너무 必要(필요) 없는
걱정까지 하는 일면이
있는가 하면,
당장 눈앞에 닥쳐오는
걱정도 모르고
東奔西走(동분서주)하는
일면도 있습니다.
이것이
人間이 지니고 있는
特色(특색)이요,
또 矛盾(모순)입니다.
진시황은 그의 後孫(후손)이
千年萬年 오래오래
皇帝(황제)의 자리를
維持(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萬里長城(만리장성)을
쌓았습니다.

겨우
오십 평생을 살고 만 그가
단 十年 후의 일도 제대로
짐작하지 못하며
엉뚱한 千年의 꿈을 꾸고
있었던 것입니다.
人間萬事(인간만사)
塞翁之馬(새옹지마)라고
했습니다.
당장 밀어닥친 不幸(불행)이
오히려 多幸(다행)이
되기도 하고,
그 多幸이 不幸의 씨가
되기도 합니다.
옛 聖人(성인)들의
가르침 가운데,
來日(내일)은 來日 걱정으로
充分(충분) 하다고 합니다.
農事(농사)를 짓지 않는
새도 먹여주는,
造物主(조물주)는 우리를
그대로 두지는
않는다고 했습니다.

天不生無祿之人
(천불 생무록 지인)
이라고 한 옛말과 같습니다.
造物主는 우리 人間을
아무 意味(의미) 없이
이 世上에 태어나게 하지는
않았습니다.
굶어 죽기는
정승하 기보 다도 어렵다고 했고,
千年 걱정은 물론,
까닭 없는 來日 걱정도 할
必要가 없다고 했습니다.
不必要(불필요)한 근심,
걱정은 접어두시고
스트레스받지 마세요~
좋은 일만 감당하고
살기에도
時間이 벅차니까요.
우리 벗님들~!
健康조심하시고
親舊들 만나
茶 한잔 (소주 한잔) 나누시는
餘裕롭고 幸福한
나날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