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법정스님의 좋은 글 모음
우리는
필요에 의해서 물건을
갖지만,
때로는 그 물건 때문에
마음을 쓰게 된다.
따라서 무엇인가를
갖는다는 것은
다른 한편 무엇인가에
얽매이는 것,
그러므로 많이
갖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많이 얽혀 있다는
뜻이다.
- 무소유 중에서-

삶은 소유물이 아니라
순간순간의 있음이다
영원한 것이 어디 있는가.
모두가 한때일 뿐,
그러나 그 한때를
최선을 다해 최대한으로
살 수 있어야 한다.
삶은 놀라운 신비요,
아름다움이다.
- 버리고 떠나기 에서-

빈 마음,
그것을 무심이라고
한다.
빈 마음이 곧
우리들의 본마음이다.
무엇인가
채워져 있으면 본마음이
아니다.
텅 비우고 있어야
거기 울림이 있다.
울림이 있어야
삶이 신선하고 활기 있는
것이다.
- 물소리 바람소리에서-

우리 곁에서
꽃이 피어난다는 것은
얼마나 놀라운
생명의 신비인가.
곱고 향기로운
우주가 문을 열고 있는
것이다.
잠잠하던 숲에서
새들이 맑은 목청으로
노래하는 것은
우리들 삶에 물기를
보태주는 가락이다.
- 산방한담에서 -

나는 누구인가.
스스로 물으라.
자신의 속 얼굴이
드러나 보일 때까지
묻고 묻고
물어야 한다.
건성으로 묻지 말고
목소리 속의 목소리로
귓속의 귀에 대고
간절하게 물어야 한다.
해답은
그 물음 속에 있다.
- 산에는 꽃이 피네 에서 -

무소유란
아무것도 갖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것을
갖지 않는다는 뜻이다.
우리가 선택한
맑은 가난은
부보다 훨씬 값지고
고귀한 것이다.
- 산에는 꽃이 피네 에서 -

버리고 비우는 일은
결코 소극적인
삶이 아니라 지혜로운
삶의 선택이다.
버리고 비우지 않고는
새것이 들어설 수 없다.
공간이나 여백은
그저 비어있는 것이 아니라
그 공간과 여백이
본질과 실상을
떠받쳐주고 있다.
- 버리고 떠나기 에서 -

? 좋은 글 중에서 ?
우리 벗님들~!
健康조심하시고
親舊들 만나
茶 한잔 (소주 한잔) 나누시는
餘裕롭고 幸福한
나날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