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ic:여자의 꿈 부지깽이가 그리움을 부르네 지금은 땔감을 쓰지 않으니 부지깽이가 사라진 시대이다. 수 천년을 우리의 어머니들은 부엌 (경상도에서는 °정지)에서 땔감을 뒤적일 때는 부지깽이가 필요했다. 공간을 만들어 산소가 공급되면 불이 확 붙는다. 불쏘시개는 바싹 마른 솔잎(°갈비)이 으뜸이었다. 초목 근피를 했으며 민둥산이어서 솔잎도 무척 귀한 시대였다. 부지깽이는 끝이 까맣게 타 있어서 바닥에 낙서도 하고 그림도 그렸다. 여름 한철 저녁 한 끼는 주로 국수로 때우기 십상이었다. 마당에 멍석을 깔아 놓고 모깃불을 피운다. 국시를 버지기에 담아서 한 그릇을 비우고 더 먹는다. 애호박을 넣고 끓인 안동 °건진국수는 지금은 브랜드화된 '안동국시'로 전국적으로 유명 음식이 되었다. 형수님께 국수꼬리를 얻어먹기 위하여 나는 부엌에 불도 봐 드리고 애호박도 따다 드렸다. 국수꼬리는 달궈진 불위에 굽기 위해서는 부지깽이를 써야 한다. 그러면 중간이 붕 떠서 씹어 먹으면 참으로 맛이 있었던 간식이었다. 내가 4살 때 시집오신 큰 형수님께서는 여든 중반이 되셨다. 시골에 귀향하여 형님 내외분이 사시는데 어제는 형수님과 한참 동안 통화를 하였다. 4살 때니 나의 아랫도리를 다 보았다고 결혼 후 아내에게 얘기하시어 한바탕 웃기도 했다. 나는 여름밤의 모깃불은 모기가 연기를 피하여 도망을 가는 줄 알고 있었다. 그게 아니었다. 멍석에서 떨어진 곳에 모깃불을 피워 놓으면 모기가 연기를 좋아하여 그쪽으로 간다는 사실을 몇 년 전에 알았다. 재미작가 김은국(작고)은 ''빼앗긴 이름 (Lost--names)''에 한 여름밤 멍석에서 국수를 먹는 장면이 나온다. 소가 파리를 쫒기 위하여 꼬리를 흔들고 머리를 움직이면 워낭소리가 들린다는 얘기도 있다. 노벨상 후보에도 올랐었는데 그만 일찍 작고하고 말았다. 쇠꼬챙이로 된 부지깽이도 자꾸만 들쑤시면 닳는다는 말이 있다. 이제는 부지껭이를 쓸 일도 국수꼬리를 구워 먹을 일도 없다. 아련한 추억 속에 남아서 향수를 불러일으킬 뿐이다. 부지깽이 쓰던 시대가 더없이 그립다. 저녁연기가 온동리에 퍼지면 마을엔 한 마리의 개가 짖으면 덩달아 온동리 개가 다 짖는다. 컹컹거리며 울린다. 그 소리가 좋다. 개구리가 합창을 하면 박자가 어찌 그리도 잘 맞는지 지휘자 없어도 개구리는 하모니를 잘 이루어 내는 음악의 귀재였다. 참으로 그 시절이 그립기만 하다. 아련히 떠 오른다. 그 느낌만으로도 꿈속같이 달콤하다. ? 좋은 글 중에서 ? 우리 벗님들~! 健康조심하시고 親舊들 만나 茶 한잔 (소주 한잔) 나누시는 餘裕롭고 幸福한 나날 되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