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usic: 월악산 삶의 지혜(智慧) 애꾸눈에 외다리이면서 난쟁이 몸을 가진 자존심 (열등감)이 아주 강한 왕이 있었습니다. 어느 날, 그 왕이 그 나라 제 일의 화가를 불러 자신의 초상화를 그리게 했습니다. 화가는 왕의 의중을 자기 생각으로 추측하여 다리 둘에, 두 눈에, 보통 키의 정상인의 모습으로 왕을 그렸습니다. 이를 본 왕은 우롱당한 듯한 모욕감을 느끼고, 그 화가를 처형해 버렸습니다. 다음에 불려 온 화가는 먼저 왔던 화가의 운명을 알았기에 현실의 모습 그대로 왕을 그렸습니다. 애꾸눈에, 다리가 하나 밖에 없는 난쟁이가 그려진 그림을 보고 왕은 낙심하고, 그 절망이 분노로 변하여 그림을 그린 화가의 목을 베어 버렸습니다. 세 번째로 불려 온 화가는 아무리 이래도 저래도 안 되니 도무지 살아날 방도가 없었습니다. 그렇지만, 침착하게 심호흡을 하면서 살아날 방도를 곰곰이 생각했고, 결국 그 화가는 왕이 말을 타고 사냥을 하고 있는 옆모습을 그렸습니다. 다리 하나는 말의 반대편에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았고, 총을 겨냥할 때는 성한 사람도 한쪽 눈을 감기에 이상하지 않았으며, 등을 굽힌 채 말을 타고 있으니 키가 작아 보이지도 않아 자연스럽게 정상인처럼 그려졌습니다. 왕은 이 그림을 보고 크게 기뻐하면서 그 화가에게 큰 상을 내렸습니다. 첫 번째 화가는 사실을 기만하는 거짓을 그려 아부하다 목숨을 잃었고, 두 번째 화가는 첫 번째 화가가 거짓을 그려 죽임을 당했으니 자신은 사실을 그렸지만 자존감이 부족한 왕의 열등감과 트라우마를 헤아리는 혜안의 자비가 없어 목숨을 잃었습니다. 그러나 세 번째 화가는 두 화가의 죽음을 보고 진실을 드러내되 배려가 함께 하는 혜안을 깨우쳐 목숨을 구한 것입니다. 너무 직설적이거나 정 반대로 잔꾀로 가득한 극단적이거나 기만적인 태도보다 배려 심을 동반한 지혜가 이 세상을 좀 더 따뜻하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너무 고지식한 직설도, 배려심 없는 잔꾀도 모두 다 경계해야 할 일인 듯합니다. 🔶 좋은 글 중에서 🔶 ![]() 옛날 초해 왕이 아침을 먹다가 거머리를 발견하자 김치에 싸서 말아 가지고 먹어 버렸습니다. 왜 그렇게 했을까요? 이것을 가지고 나무라면 최소한 요리사로부터 몇 사람이 죽을 테니까 그렇게 한 것입니다. 한 순간의 지혜가 수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건진 것이지요. 중국에 오패의 초장 왕은 잔치를 베풀어서 신하들과 술을 먹는데 촛불이 꺼지자 어떤 신하가 왕의 애첩에게 입을 맞추자 애첩이 갓 끈을 끊고 "잡아 처벌해 달라"고 왕에게 고하자 지혜로운 왕은 말하길 "여봐라 모두들 갓 끈을 끊으라."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내시들이 와서 황급히 불을 켜니까 모두의 갓 끈이 없는 것입니다. 여러 해가 지난 후에 한 장수가 나라를 구하고 왕에게 와서 "소인이 예전에 취중에 저지른 실수로 죽을 뻔 했으나 임금님의 자비 덕분에 살았기에 임금님을 위해 생명을 바치기로 하였습니다."고 하였습니다. 죄를 드러내어 벌을 주는 것도 좋지만 덮어 주므로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도 지혜로운 방법입니다. [출처] 삶의 지혜(智慧) 작성자 kwc4612 우리 벗님들~! 健康조심하시고 親舊들 만나 茶 한잔 (소주 한잔) 나누시는 餘裕롭고 幸福한 나날 되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