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897

술에 관한 명언 (★)▶[검]

◆술에 관한 명언 주불 강권(主不强勸) 객 불 고사(客不固辭) 조선 신숙주의 동생 신말주 술을 마실 때 집주인은 술은 억지로 권하지 말고 손님은 너무 사양치 말아야 한다 주불 취인인 자취 (酒不醉人人自醉) 색 불미인 인자 미 (色不迷人人自迷) 술이 사람을 취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스스로 취하는 것이요 색이 사람을 미혹시키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스스로 미혹하는 것이다 - 명심보감 - 술 마시는 시간을 낭비하는 시간이라고 생각하지 말라. 그 시간에 당신의 마음은 쉬고 있으니까. - 탈무드 - 술이 머리에 들어가면 비밀이 밖으로 밀려나간다. - 탈무드- 술이 들어가면 지혜가 나온다. - 존 허버트(영국 신학자·시인)- 날 취하게 하는 데는 딱 한잔이면 족하다. 근데 문제는 이게 13번째 잔인지 14번째..

카테고리 없음 2020.09.12

부자는 3대를 못 간다? (★)▶[검]

부자는 3대를 못 간다? 어떤 3대는 집안을 일으킨다 할아버지 사업 부흥시킨 손자들 스마트 시스템 도입 구두 사업에 IT 접목 디자인, 치수 맞춤 제작 사내 벤처 "맨솔" 성공 부불 삼대(富不三代), 부자는 3대를 가지 않는다고 했다. 서양에도 '셔츠 바람으로 시작해서 3대 만에 도로 셔츠 바람으로 (Shirtsleeves to shirtsleeves in three generations)' 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1대가 일군 재산이 3대까지 고스란히 지켜지는 건 쉽지 않다. '부의 대물림'의 저자 제임스 휴즈에 따르면 1대가 재산을 형성하고, 2대는 그걸 유지만 하다가 3대가 탕진한다. 최근 국내 기업의 3대가 갑질이나 마약 때문에 문제가 된 것만 봐도 틀리지 않는 얘기다. 하지..

카테고리 없음 2020.09.12

지혜가 주는 인생길 (★)▶[검]

지혜가 주는 인생길 지식이 많다고 "지혜"로운 사람은 아닙니다. 간혹 우리 중의 어떤 사람은 많이 배운 지식으로 인해 오히려 오만하게 되어 "지혜"를 잃는 경우가 있습니다. "지혜"의 첫걸음은 자기가 미흡하다는 것을 아는 데 있다고 합니다. "지혜" 롭 다는 건 우선 고개를 숙일 줄 안다는 것이지요. 유태인의 속담 중에 "태양은 당신이 없어도 뜨고 진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광활한 우주와 오묘한 자연 속에서 우리 인간의 존재는 보잘것없는 작은 것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한껏 오만을 떠는 것은 지식만 있었지 "지혜"가 없는 까닭입니다. 아무리 많은 것을 알고 있다 해도 우리 인간은 결국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존재가 아닙니까? 그러나 "지혜"의 문만 열게 되면 인생의 많은 난관들..

카테고리 없음 2020.09.12